본문 바로가기
알아두면 좋은 상식

MSG란, 화학 조미료는 어떻게 만들어질까? 정말 안전할까?

by meno.miho 2025. 7. 22.
반응형

말 많은 화학조미료 MSG, “화학조미료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?” 이에 대해 정확하고 현실적으로 설명해 드릴게요. 특히 대표적인 화학조미료인 MSG, IMP, GMP를 중심으로 제조 공정을 다룹니다. 괴담이나 루머가 아닌, 실제 식품공학 기준에 근거한 정보입니다.


🔬 화학조미료는 어떻게 만들어질까?

화학조미료는 단순히 '화학물질을 섞는 것'이 아닙니다. 대부분은 자연 유래 원료미생물 발효하거나 정제·가공하여 만듭니다. 특히 우리가 흔히 말하는 ‘미원(=MSG)’은 사탕수수, 옥수수, 전분 등 탄수화물 원료를 발효시켜 얻습니다.


✅ 1. MSG (글루탐산나트륨) 제조 과정

🔹 원료

  • 사탕수수, 옥수수 전분, 타피오카 등 전분류 탄수화물

🔹 제조 단계

  1. 당화 (saccharification)
    → 전분에서 포도당을 추출
  2. 발효 (fermentation)
    → 특정 미생물(코리네박테리움 등)을 이용해 포도당을 L-글루탐산으로 발효시킴
  3. 정제 및 중화
    → 생성된 글루탐산에 **나트륨(Na)**을 결합시켜 **글루탐산나트륨(MSG)**을 생성
  4. 결정화 및 건조
    → 순도 높은 결정형태로 만든 후, 건조하고 포장

 

✅ 즉, 된장이나 간장과 비슷한 방식으로 발효해 만든 것이라 할 수 있음. 단, 미생물 균주와 조건이 더 정밀하게 관리됨.


✅ 2. IMP (이노신산나트륨) 제조 과정

🔹 원료

  • 사탕수수, 효모 추출물, 고기 조직에서 얻은 핵산

🔹 제조 단계

  1. 효모 세포에서 핵산 추출
    → RNA에서 **이노신산(IMP)**을 분리
  2. 정제 → 나트륨 결합 → 결정화
    → 소금(Na)과 결합시켜 이노신산나트륨(IMP) 생산

 

✅ IMP는 특히 고기 국물 맛, 라면 스프 등에 감칠맛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함


✅ 3. GMP (구아닐산나트륨) 제조 과정

🔹 원료

  • 버섯, 효모, 곡물 발효액 등에서 핵산 추출

🔹 제조 단계

  • IMP와 유사하지만, GMP는 주로 버섯 향을 강화하는 데 사용됨
  • 역시 효모로부터 RNA를 추출 → 구아노신산(GMP) 분리 → 정제 후 나트륨과 결합

✅ MSG 단독보다 IMP, GMP를 함께 사용하면 감칠맛이 10배 이상 증가됨 (시너지 효과)


✅ 화학조미료 = 인공화학물? ❌

많은 사람이 “화학조미료 = 인공 화학물질”이라고 오해하지만, 실제로는:

  • 자연 유래 탄수화물 발효
  •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추출
  • 된장, 간장과 같은 발효 원리

즉, 발효공학 기술로 만든 조미료라 보는 게 맞습니다. MSG도 말 그대로 ‘글루탐산 + 나트륨’ 일뿐, 독성이 있는 물질이 아닙니다.


✅ 그럼 왜 '화학' 조미료라 불릴까?

‘화학조미료’라는 말은 예전 미원 출시 당시 생긴 상표 대명사 같은 개념입니다.
MSG가 ‘공장에서 만들었다’는 이유로 인공적=화학적이라는 프레임이 생겼지만, 실제로는 과학적으로 안정적이며, WHO·FAO에서도 **‘안전한 식품첨가물’**로 인정하고 있습니다.


✅ 요약정리

조미료 제조 방식 특징

MSG 전분 발효 → 글루탐산 → 나트륨과 결합 기본 감칠맛
IMP 효모 RNA에서 핵산 추출 육류 맛 강조
GMP 버섯, 효모 기반 핵산 추출 채소·버섯 풍미 강화
2.5 조미료 MSG + IMP + GMP + 소금 등 혼합 업소용 감칠맛 폭발

✅ 참고로…

  • CJ제일제당, 삼양사, 대상(미원), 일본 아지노모토 등 대기업들이 모두 이 공정으로 조미료를 생산합니다.
  • 국내에서도 대부분 HACCP 인증 공정으로 제조되어 안전하게 유통되고 있습니다.

화학이라는 단어의 어감으로 인해 화학조미료가 몸에 나쁜 것처럼 인식이 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. 하지만 제조 공정과 정부기관의 여러 가지 시험 결과를 보면 인체에 유해하다는 결론은 아직 나온 적이 없답니다. 하지만 조미료는 조미료이므로 더 맛있게 먹고 싶다 더 감칠맛을 느끼고 싶다 할 때의 선택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!

반응형